건강 정보

뇌종양의 증상들

고얀만두 2025. 1. 13. 09:27
반응형

뇌종양의 증상 및 원인

뇌종양은 인구 10만명당 10~12명 정도로 발병하는 드문 질병입니다. 주로 40, 50에서의 발병이 많긴 하나, 아이들에게 많이 보이는 타입의 뇌종양도 존재합니다. 뇌종양은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증상들이 초기부터 나타납니다. 양성이든 악성이라도 차이는 없고 같은 증상이 나오기 때문에 처음부터 악성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가능한 한 빨리 진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양성이든 악성이든, 뇌종양이 커지면 몸의 한쪽에 마비가 생기는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더 나아가 걸을 수가 없고, 몸이 흔들리고, 말을 하기가 어려워지고, 다른 사람의 말들을 이해하기 어렵고, 한쪽 눈이 보이지 않고, 원인을 알 수 없는 메스꺼움이나 구토 등의 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납니다. 뇌종양의 원인은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추측되고 있지만, 정확한 이유는 현재도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종양의 원인으로서 고단백·고지방 식품 과잉 섭취, 과도한 스트레스, 흡연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뇌경색, 뇌출혈과의 차이는?

두통을 느끼거나 간질(발작)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그러나 두통이 곧 뇌종양은 아닙니다. 뇌종양의 증상은 두개골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지만, 그 압력은 수면 중에 약간 증가합니다. 따라서 아침에 일어났을 때 두통이 발생하면 뇌종양의 증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뇌경색이나 뇌출혈의 경우와 거의 유사합니다. 그러나 뇌종양에서는 증상이 나타나는 방식에 특징이 있는데, 뇌경색이나 뇌출혈의 경우에는 이러한 증상들이 갑자기 일어나지만 뇌종양에서는 종양이 조금씩 커지기 때문에 서서히 증상이 나타납니다. 다만, 악성도가 높은 종양은 급격하게 종양이 커져 처음에는 가벼운 증상이였다가 2~3주 내에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뇌 이상을 직접 확인하는 방법

뇌 이상이 의심된다면, 지금 즉시 양팔을 벌리고 한쪽 다리(양쪽 다리 번갈아서)로 서봅니다. 좌우로 흔들리거나, 제대로 서있을 수 없거나, 젓가락이나 펜이 제대로 잡히지 않거나 한다면 뇌 이상을 반드시 의심 하시고, 절대 미루지 말고 즉시 신경 내과(뇌 전문 병원)에 방문하여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진찰 결과 뇌종양이 아니어도 뇌경색이나 뇌출혈, 치매 등 다른 뇌의 질병이 판명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진단과 치료

MRI, CT, PET검사 등 화상진단과 함께 진찰하며, 필요하게 되면면 다른 검사도 실시하여 종합적으로 종양의 종류나 병명을 판단합니다. 뇌종양은 150종류 이상의 미세한 분류가 있지만 실제로 종양을 적출하여 표본을 만들고 세포를 보지 않으면 진단이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수술 방식도 수술 중 병리 진단에 의해 달라질 수 있고, 보조요법도 중요합니다. 다시 말씀 드리지만 증상이 있다면, 절대 미루지 말고 즉시 전문 의료 기관에 방문하여 진찰,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