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기에 물렸을 때
여름철이 되면 모기 물림은 일상적으로 발생합니다. 모기에 물린 부위를 가려움증에 뿌려 긁어 버리면 가려움증이 늘어나 증상이 악화되거나 피부가 손상되어 화농성 염증이 발생하거나 색소 침착을 일으켜 버릴 수도 있습니다.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만, 물렸다면 방치하지 않고 가능한 한 빨리 대처할 필요가 있습니다.
모기는 어떤 벌레인가?
모기라고 하면 '피를 흡혈하는 벌레'라고 알고 있습니다. 국내 서식 모기 중에서 사람을 흡혈하는 모기는 작은빨간집모기, 중국얼룩날개모기, 토고숲모기, 지하집모기, 빨간집모기, 큰검정들모기가 있고 모두 암컷입니다.평상시 먹이는 풀꽃의 국물이나 꿀이나, 산란기의 모기는 동물(인간)의 피를 흡혈하여 영양분을 흡수합니다. 모기들은 주로 웅덩이, 하수구, 화분의 접시에 쌓인 빗물 등에 알을 낳고, 유충인 장구벌레가 되어 5에서 14일이 지나 모기 성충이 됩니다.
모기에 물렸을 때 증상
모기에 물린 직후부터 급격한 가려움을 느끼고 붉게 고조된 발진이 나옵니다. 증상의 대부분은 몇 시간 정도이며, 흔적을 남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치료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모기 물림에 의한 피부 반응은 모기가 흡혈 할 때, 인간의 피부에 들어간 '타액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에 의해 발생합니다. 즉, 우리의 신체가 모기 타액을 이물질로 인식하고 그에 대한 방어 반응으로 붉은 색과 가려움증이 발생합니다.
모기 타액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에는 찔린 직후부터 증상이 나오고, 몇 시간 정도로 증상이 낫는 '즉시형 반응'과 다음날과 같이 후에 증상이 나오고, 며칠부터 1주일 정도에 걸쳐 나타나는 '지연형 반응'이 있습니다. 다만 증상의 정도에는 개인차가 있어, 심하면 물집이 생기거나, 증상이 며칠 계속되기도 합니다. 또 가려움이라고 해서 긁어 버리면 상처가 되고, 거기에서 세균이 침입해 화농성 염증 등 치유하기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모기에 물리지 않는 예방법
모기는 웅덩이와 잔디, 그늘 등에 숨어 사람에게 흡혈의 기회를 노리고 있습니다. 모기가 발생할 것 같은 장소에 나갈 때는 긴 소매 긴 바지를 착용하고 수건으로 목을 덮는 등 가능한 한 피부 노출을 줄여야 합니다. 모기는 검은 색이나 감색 등 짙은 색을 선호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의복은 흰색이나 노란색 등 밝은 색의 옷을 선택합시다. 목덜미나 손가락, 손목 등 의복으로 숨길 수 없는 부분은 모기 기피제 등을 활용해 모기를 들러붙이지 않도록 합니다. 집의 정원이나 베란다, 현관 등에 화분 등을 두고 있는 경우는 모기가 서식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웅덩이와 하수구, 화분의 접시에 쌓인 빗물 등 약간의 물은 모기의 유충인 장구벌레가 서식하는 환경이 되기 때문에 자주 청소를 해 모기의 발생을 방지해야 합니다.
모기에 물렸을 때의 대처·치료법
모기에 물리면 강한 가려움증을 느끼지만 물린 부분은 절대로 긁지 말아야 합니다. 새로운 세균 감염 등으로 염증이 퍼져 한층 더 가려워지는 경우나, 긁음으로써 피부가 상해 화농성 염증이 발생하거나, 색소 침착을 일으키거나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가려움을 느끼면 젖은 수건이나 냉수를 얹어 환부를 진정시켜야 합니다. 가려움증이 강할 때나, 환부에 적색이나 붓기가 있을 때는 염증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니, 환부를 씻고 깨끗하게 한 후 약국에서 파는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르면 가려움을 진정 시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몇 일이 지나면 가려움증과 붉은 붓기는 가라 앉습니다. 그러나 모기에 물린 부위 이외에도 가려움증이나 붓기, 물집 등의 증상이 나오고 있을 때나 발열·어지럼증 등의 전신 증상이 있을 때는 즉시 병원에 방문하여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또한 가려움증이나 부종이 있는 부위에 대해 스테로이드 연고를 5~6일간 사용해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거나 악화된 경우에도 진찰이 필요합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 통증의 완화와 예방 (0) | 2025.01.06 |
---|---|
비타민 같은 영양제, 언제 먹으면 가장 좋을까? (1) | 2025.01.06 |
등산할 때 무릎이 아픈 원인은? (+ 무릎 관절에 좋은 스트레칭) (3) | 2025.01.02 |
뱃살은 어떤 이유로 자꾸 늘어만 나는 것일까? (7) | 2025.01.02 |
다이어트에 도움 되는 습관, 방법, 음식 (2) | 2025.01.02 |